[차이나워치] 홍콩판 국가보안법 내일 시행…서방 우려·중국은 환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홍콩판 국가보안법이 내일부터 시행됩니다.<br /><br />홍콩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가 관심인데요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하겠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예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홍콩이 중국과 흡사해지는 이른바 중국화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은 2020년 6월부터 홍콩보안법을 시행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7개 조항만으로도 시민단체 자진 폐쇄가 이어지며, 민주화 시위가 급격히 줄었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는 39개 죄목과 구체적인 처벌 수위가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반역이나 내란 등의 경우라면 최대 종신형, 외부 세력과의 결탁이나 허위사실 공포여도 10년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법안이 당장 내일부터 시행되는데, 홍콩 시민들은 조용한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팬데믹에다 홍콩보안법까지 시행되면서 홍콩 내 반중 시위대는 동력을 잃었는데요.<br /><br />홍콩 입법회 구성이 달라진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 친중 진영이 40석, 민주·중도가 30석을 차지했던 것과 달리 지금은 90석 중 89석을 친중계가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 '아시아의 금융 허브' 위상은 약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은데요.<br /><br />일부 기업들은 싱가포르 이전 등 비상계획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방에서는 홍콩시민의 자유를 억압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반면 중국 내에선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국가안보를 해치는 소수에게는 날카로운 칼이지만, 홍콩 주민과 외국 투자자들에게는 자유와 권리, 재산과 투자를 지켜주는 수호신이 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서울에서 개최됐는데, 중국이 우리나라와 미국을 향해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죠.<br /><br />어떤 내용입니까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예,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이번 주 서울에서 개최됐는데요.<br /><br />2021년 두차례 미국에서 열린 뒤 해외에서 열린 것은 이번 한국 행사가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바로 대만의 참가였습니다.<br /><br />대만이 사전녹화 영상을 보내는 형식으로 참석했는데, 중국은 초청한 우리 정부에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관영매체 신화사도 강도 높은 비판 기사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에는 "미국의 졸개가 됐다", 또 미국에는 "가짜 민주로 분열과 대결을 선동하고, 자기 패권을 지키려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 참석한 블링컨 국무장관 발언에도 강하게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은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"적들이 허위 정보를 통해 민주주의 내부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"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이에 중국 외교부는 미국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며 외교채널을 통해 항의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중국과 우호관계에 있는 국가와 지역, 국제기구에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맞불 성격의 국제포럼을 열었는데요.<br /><br />"민주는 수출되거나 강요돼서는 안된다"고 미국을 비판하면서, 중국식 민주가 옳다는 논리를 폈습니다.<br /><br /> "거짓말과 음모는 역효과를 낳을 뿐입니다. 미국이 유언비어와 비방을 퍼뜨리고 대중을 혼란에 빠뜨릴수록 국제사회는 미국이 얼마나 신뢰할 수 없는 존재인지 더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고 평판은 나빠질 것입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이 소수민족을 지우는 교과서를 채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결국은 중화라는 개념으로 중국을 단일화해 가는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한 '중화민족 공동체 의식'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가 대학 필수 교재로 채택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'애국주의 교육법' 시행으로 중화민족을 강조하고 나선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 지우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에는 55개 소수민족 1억2,500만명이 있죠.<br /><br />인구 2천만명인 좡족을 비롯해 1천만명인 만주족도 사실상 한족화됐고, 중국화 무슬림인 후이족 980만명도 융화의 성공사례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반면 신장 위구르족이나, 네이멍구 몽골족, 시짱자치구의 티베트족은 동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교과서는 중국의 모든 역사는 통합의 과정이며, 중국 내 모든 민족은 중화의 개념 아래 하나로 뭉쳐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례로, 그간 중국은 위·촉·오 삼국을 통일한 진나라가 흉노 등 이민족의 침략으로 망하면서 등장한 5호 16국을 암흑의 기간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새 교과서는 중화민족이 섞이는 과정이라고 표현했습니다.<br /><br />민족 통합을 최우선에 두고 역사를 아예 새로 해석한 건데, 이민족의 역사도 중국의 역사라는 의식을 심은 겁니다.<br /><br />또 과거 정책이 편협한 민족의식과 소수 민족주의를 조장했다며 중국의 과거 소수민족 정책도 부정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 여파로 소수민족의 독자적인 역사와 문화 유지가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고요.<br /><br />또, 소수민족에게 적용됐던 한 자녀 정책 면제와 입시 특혜, 주택구입 지원 혜택도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에서 애플의 아이폰 판매가 급감한 가운데, 팀 쿡 애플 CEO가 5개월 만에 또다시 중국을 찾았다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애플 CEO 팀 쿡이 상하이의 8번째 애플스토어 개장식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새로 오픈한 매장은 뉴욕 5번가에 이어 두 번째, 아시아에서는 제일 큰 규모인데요.<br /><br />부지 면적만 3,835㎡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애플의 최대 시장 중 하나인데, 최근 아이폰 판매가 급감하고 있죠.<br /><br />올해 첫 6주간 아이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화웨이 스마트폰 판매량은 64% 급증했는데요.<br /><br />한국에서와 달리 1,400위안, 우리 돈 25만원 정도의 할인행사까지 벌였지만, 감소세를 만회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중국은 찾은 건데, 애플에게는 중국이 그만큼 중요한 시장이라는 방증이겠죠.<br /><br />팀 쿡은 상하이식 사투리인 "눙하오"라고 인사하며 "중국보다 더 중요한 곳은 없다"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1위 전기차 회사 비야디의 왕촨푸 회장 등 중국 재계 거물들을 잇따라 만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팀 쿡은 모레 중국발전포럼...